본문 바로가기
생기부 잘 쓰는 방법

네이버 클로바노트로 손쉽게 발표수업을 생기부에 넣어주자

by 공존共存 2023. 12. 13.
반응형

발표수업은 교사에게 작지 않은 고민거리다. 하면 좋은데, 그것을 생기부에 예쁘게 넣어주어야 한다. 교사는 지루한 아이들의 발표를 집중해서 들으며 메모를 해야 하고, 아마도, 발표가 이루어지고 상당한 시일이 지나서야 생기부를 각 잡고 쓸 여력이 좀 생긴다. 그때가 되면? 메모는 산더미 같은 수업 프린트에, 다른 수행평가에 깔려서 찾아지질 않고, 그럼 나는 이 발표활동을 어떻게 써줘야 할지 다시 생각해보고, 어떻게 아이에게 발표원고라도 가져와보라고 할지 모르겠고.

그런데 짜잔-, 클로바노트. 아주 쉽다.

발표수업을 진행한다. 발표수업을 할 때, 클로바노트 앱을 켜둔다. 클로바노트는, 음성을 인식해서 자동으로 텍스트를 만들어준다. 그것도 발표자를 구분하여, 꽤나 정확하게.

폰으로 녹음하면 PC에서도 바로 열람이 가능하기에, 우리는 아주 간단하게 아이들의 발표 녹취록을 보관할 수 있다. 손으로 메모를 할 필요도 없고, 집중해서 들을 필요도 없다. 최근 업데이트된 기능으로, 클로바노트가 요약까지 해준다.

클로바노트의 인식도도 퍽 높아서, 어지간히 어려운 전문용어나 외래어가 아니면 거의 완벽하게 녹취, 활자화된다. 발표수업을 할 때는 교사가 이름만 한번씩 읊어주면 자동적으로 발표자 구문까지 할 수 있다.

게다가 수기로 메모를 할 때는 요점만 정리하게 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나, 발표 원본 음성을 100% 활자화해주는 이 기술 덕분에 아이들의 사고 과정도 보다 내밀하게 들어볼 수 있다. 원래 이런 방식이 전문연구기관에서 인터뷰 분석을 할 때 사용되는 것인데, 우리는 무료로 이런 훌륭한 기술을 써볼 수 있다. 기술의 진보가 교사에게 보내주는 작은 선물이랄까.

남는 건, 이렇게 녹취된 아이들의 발표 내용을 다른 활동 및 관찰평가와 버무려서 잘 쓰기만 하면 되는 일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