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교사14

행발 생기부 잘쓰는 방법(행동특성 및 발달사항): 중학교 ​ 여러 교과목에 내 생기부 작성틀을 적용했으니, 행동특성 및 발달사항에도 이것을 적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마침 중3 담임을 하는 아내가 생기부 마감에 바쁘기에, 먼저 실험적으로 행발 작성틀 파일을 만들어서 주었다. ​ 이 작성틀은 중학교 수준에서는 그럭저럭 쓸만할 것으로 생각된다. 개별화 내용없이 미사여구들로만 채워져 있어서 사실 허위기재를 유도하는 성격이 강하다. 대신 학생들의 특성을 최대한 다양하게 섞어두었기 때문에 초안의 성격으로 대강의 내용을 구성하고, 이 내용을 나이스에 옮기는 과정에서 상시기록된 개별화 내용들을 합쳐주면 될 것이다. 그래서 이 파일의 이름도 "일반특성"이다. 이것을 잘 고쳐서 쓰면 중학교에서도 충분히 내실있는 작성은 가능하다. ​ 그러나 중학교에서라면, 이 이상 잘 써야 하.. 2023. 12. 13.
생기부 상시 기재 쉽게하기 2022년 현재 기준으로 나이스 생기부 시스템에는 "상시기재"를 위한 기능이 업데이트 되어 있다. "관찰기록"이라는 이름으로, 교육청에선 이것을 적극 활용하도록 하여, 의무적으로 1회 이상 기재하라는 지시를 내린 지역도 있다. ​ 그러나 상시기재가 의무화되어 있어도 그 시스템을 실제로 사용하는 데에는 큰 어려움이 따르는데, 다름이 아니라 나이스 시스템에 접속하기까지 너무 오래 걸린다는 점이다. 실제로 아이들에게 유의미한 관찰평가기록이 발견되어, 그것을 생기부에 넣어주려고 하면 일단 해당 창을 여는데까지 3분에서 5분이 걸린다. 만약에 연강이라면 10분의 쉬는시간에, 방금 막 발견된 아이의 주요 특성을 후다닥 쓸 수 있는 여지는 전혀 없다. ​ 나이스에 기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연히 다른 경로에 의존하게 .. 2023. 12. 13.
네이버 클로바노트로 손쉽게 발표수업을 생기부에 넣어주자 발표수업은 교사에게 작지 않은 고민거리다. 하면 좋은데, 그것을 생기부에 예쁘게 넣어주어야 한다. 교사는 지루한 아이들의 발표를 집중해서 들으며 메모를 해야 하고, 아마도, 발표가 이루어지고 상당한 시일이 지나서야 생기부를 각 잡고 쓸 여력이 좀 생긴다. 그때가 되면? 메모는 산더미 같은 수업 프린트에, 다른 수행평가에 깔려서 찾아지질 않고, 그럼 나는 이 발표활동을 어떻게 써줘야 할지 다시 생각해보고, 어떻게 아이에게 발표원고라도 가져와보라고 할지 모르겠고. ​ 그런데 짜잔-, 클로바노트. 아주 쉽다. ​ 발표수업을 진행한다. 발표수업을 할 때, 클로바노트 앱을 켜둔다. 클로바노트는, 음성을 인식해서 자동으로 텍스트를 만들어준다. 그것도 발표자를 구분하여, 꽤나 정확하게. 폰으로 녹음하면 PC에서도 바.. 2023. 12. 13.
ChatGPT로 고교 영어 수업 자료를 제작해보아따. 겨울 방학 내내 ChatGPT로 소란스러웠다. 이것으로 코딩도 하고, AI 이미지 제작에도 활용하고, 학습에도 쓴다고 말이지. 나는 미래형 교과서에 에듀테크를 활용하도록 하는 사업에 응모해, 계획서를 작성해야했기 때문에 당연히 ChatGPT를 활용한 영어수업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했고, 함께 1학년 수업을 들어가는 샘과 수행평가 방향을 정했다. 사업이 확정되기 전에 평가계획서를 작성해 1학기 수업을 운영해야하니, 이번엔 보류하더라도 2학기엔 써보기로. 그리고 3월이 되어 한창 바쁘게 수업준비를 하던 어느날, 공문이 왔다. 미래형교과서 사업 확정. 오예. 나는 얼마 뒤에 조금 시간이 난 틈을 타, ChatGPT에 가입을 하고 성능을 시험해보기로 했다. 원래는 ChatGPT 프리미엄 버전으로 유료구매까지 하려.. 2023. 10. 20.
반응형